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내가 죽던 날' 줄거리 및 현수의 공감과 연민의 감정

by 머니 지안 2024. 9. 26.

 

내가 죽던 날

줄거리

영화 '내가 죽던 날'은  한 소녀가 자살로 추정되지만 시신이 발견되지 않았던 미해결 사건을 형사인 현수(김혜수)가 맡게 되면서 스토리가 전개됩니다. 평범했던 소녀는 아버지가 죽음을 통해 아버지가 부적절한 방법으로 돈을 벌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오빠마저 동생에 대한 사랑과 연민 없이 자신의 이익만을 위한 이기적이고 부도덕적인 인물입니다. 현수는 소녀의 죽음에 대한 흔적들을 쫓아가며 섬마을에서 소녀의 생활과 아픔을 고스란히 느끼지 시작합니다. 현수도 남편과 이혼 소송 중이며 자살을 시도했다는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침묵의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자신을 이해하고 공감하지 않는 현실에서 도망치고 싶었고 숨어서 지냈던 현수와 소녀는 닮았습니다. 현수는 소녀의 사건을 조사하면서 공감과 연민을 느끼며 사건을 깊이 파헤칠수록 소녀에 대한 연민과 공감은 더 깊어집니다. 섬에서 홀로 고독과 외로움을 견뎌내는 소녀의 모습은 현수 자신이 거울에 비쳤던 얼굴입니다. 현수는 마을 사람들 및 소녀의 주변 사람들과 수사를 위한 대화를 통해 소녀를 진심으로 생각했던 사람이 없음을 안타까워합니다. 현수는 소녀가 불쌍하고 가엾습니다. 사건을 사망으로 추정하며 종결하지만 미련을 놓지 못합니다. 단 한 사람에게 조차 이해받지 못한 소녀가 자신과 닮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수는 소녀인 세진이 순천댁(이정은)을 의지하고 서로 깊은 공감은 물론 연민과 애정의 관계임을 알게 됩니다. 순천댁(이정은)은 세진의 행복을 위해 여권을 만들어주고 자살로 위장하여 소녀를 섬에서 빠져나가게 합니다. 현수는 이 모든 사실을 알고 소녀가 살아있음에 감사하며 자신의 삶을 살아가 용기를 얻게 됩니다. 1년 후 현수는 세진이 일하는 곳에서 세진을 만납니다. 현수와 마주 앉은 세진의 모습은 서로 닮아 있습니다. 현수는 흐뭇한 시선으로 세진을 바라보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현수의 시선을 통해 영화 '내가 죽던 날'은 사람의 관계에 대한 정서적 깊이와 근복적 영향에 대하여 생각하게 합니다. 

 

세진에 대한 공감

현수는 개인적인 위기에 짓눌려 있는 인물입니다. 실패한 결혼 생활과 형사 일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 현실은 세진의 미해결 사건을 종결하는 것만큼 그녀 자신의 감정적 응어리를 해결해야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녀의 감정적 취약성 및 그녀의 내부적 갈등과 외부적인 현실의 문제점은 관객이 그녀의 감정을 이해하게 합니다. 이러한 현수의 개인적인 위기는 세진에 대한 공감의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현수는 자신의 두렵고 불완전한 감정을 통해 세진의 상실감과 고립감을 이해하며 공감하기 시작합니다. 경험이란 사람을 이해하는 폭을 깊게 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때에도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영화는 보여줍니다. 사람과 더불어 사는 세상에서 공감은 중요한 요소이며 관계의 정서적 깊이를 형성하게 합니다. 우리가 현실에서 힘들고 어려움에 처해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서 공감은 항상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천천히 가랑비에 옷 젖듯이 나타남을 상기시켜 줍니다. 

 

세진을 향한 연민

세진은 영화에 실재적인 존재로 나타나지 않지만 현수가 수사를 하면서 계속 과거에 등장합니다. 고립된 외로움과 두려움, 무서움과 방치된 듯한 세진의 모습은 현수에게 연민의 대상입니다. 세진이 자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쫓아가는 현수는 세진에 대한 연민은 깊어집니다. 현수의 세진에 대한 연민은 사건이 전개되면서 점점 깊어지고 인간에 대한 이해로 확대됩니다. 영화 '내가 죽던 날'은 현수가 세진의 고통을 어떻게 내면화하는지 보여주기 위해 미묘하고 섬세한 시간적 사건의 단서와 순천댁의 침묵을 이용합니다. 현수의 공감적인 시선을 통해 세진의 현실적인 무게를 관객에게 전달합니다. 세진에 대한 연민은 현수 자신의 상처에 대한 정서적 치유를 가져오며 과거로부터 자신을 이해하고 용서합니다. 진정한 연민이 종종 고통과 괴로움의 공유된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다른 사람을 위한 행동이 결국은 나를 위한 것이며 내가 세상에 선물을 주면 세상도 나를 위해 선물을 준다는 간단한 원리를 현수와 세진을 통해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