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행의 좀비 장르 재해석
'부산행'은 천만관객을 돌파한 영화로 비평가들의 호평과 동시에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연상호 감독이 2016년에 만든 좀비 스릴러 영화입니다. 부산을 향해 돌진해 가는 기차라는 영화 속 공간의 설정은 긴장감과 공포감을 더욱 야기시키며 폐쇄적인 공간의 협소성과 어둠 속에서 행동에 제약을 받는 좀비의 설정은 관객에게 집중과 몰입을 선사했습니다. 기존 좀비 영화는 유혈과 공포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부산행'은 위험하고 공포스러운 상황을 헤쳐나가는 인물들의 정서적, 심리적면에서 인간적이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부산행' 영화의 좀비는 빠르고 잔인하며 무섭지만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인간의 사회적 책임과 개인적인 이기심 그리고 사회 규범의 붕괴에 따른 주제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좀비 영화의 신선한 주제의 제시는 빠른 전개의 속도감과 결합되어 공포와 좀비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과 일반 관객에게 모두 어필하며 설득력 있는 줄거리 및 좀비를 소재로 한 내용의 정서적, 심리적, 감동적인 테마는 영화의 흥행에 성공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흥행적 요소
'부산행'의 가장 중요한 흥행 요소 중 하는 휴먼 드라마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입니다. '부산행' 영화의 경우 좀비의 발생이나 확산등의 스릴러적 요인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사람의 관계에 따른 희생과 사랑, 압박과 공포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선택에 대한 희생적과 사랑의 마음은 감동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유가 연기한 주인공 석우는 일에 매진하는 아버지의 모습으로 일이 아닌 다른 것은 관심 없는 개인적인 인물이었지만 스토리가 전개되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이타적인 마음을 가진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관객에게 감동을 전달합니다. 석우는 감염되면서 좀비가 되기 전 허락된 짧은 시간 딸이 태어날 때 가졌던 사랑과 감탄, 감사의 마음과 행복했던 순간을 기억하며 인간으로서 마지막 선택을 하는 장면은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이러한 감정적 깊이의 울림은 '부산행'이 다른 좀비 영화와의 차별성이며 관객과 소통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캐릭터들의 다양한 모습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간의 삶에 대한 해석과 방향을 생각하게 합니다. 좀비를 소재로 한 다양한 액션과 감정적인 요소가 흥행의 성과에 많이 기여했습니다.
석우(공유)는 좀비에 감연되어 자신의 딸(수안)과 성경(정유미)을 기차의 조정실로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수안에게 성경 옆에 꼭 붙어 있어라고 말합니다. 가지 말라고 소리치며 우는 수안을 남겨놓고 석우는 영원한 이별을 선택합니다. 사랑하는 남편 상화(마동석)가 좀비에 감염되어 마지막 인간의 정신으로 아내 성경(정유미)을 위해 필사적으로 좀비를 막으며 아내 성경을 도피시킵니다. 남편 상화를 남겨 두고 상아는 달려갑니다. 마지막 장면인 성경과 수안은 터널을 함께 걸어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안은 아빠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노래를 부릅니다. 수안이 불렀던 노래는 성경과 수안의 생명도 지키게 합니다. 성경과 수안은 석우와 상화의 이타적인 사랑과 희생으로 부산에 도착합니다.
캐릭터를 통한 도덕성
'부산행'은 위기 상황에서 인간의 행동들을 다양한 캐릭터로 제시합니다. 자기만 살겠다고 다른 사람을 좀비 속으로 밀쳐버리거나 다른 사람의 위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집단적 이기주의, 인간성을 상실한 사람들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섬세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영화 속의 캐릭터를 보면서 공감, 공동체 의식, 윤리적 책임이라는 사회적인 문제를 반영하고 자기 보호적인 이기심과 희생적인 이타적 사랑의 도덕적 문제를 관객이 생각하게 합니다. 좀비 사태로 발생된 사회 질서 붕괴에 대한 영화의 섬세한 묘사는 실제 위기 속에서 사회의 대응에 대한 우려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등장인물 중 이기적인 캐릭터의 행동은 희생적이고 영웅적인 캐릭터들의 행동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인간에 대한 도덕성과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주제적인 깊이와 스릴러 적인 스토리가 결합된 '부산항'은 재미는 물론이고 인간이 극한의 한계 상황에 놓였을 때 가치관과 도덕성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영화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