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82년생 김지영의 좌절, 연출과 캐릭터, 소설에 기반을 둔 영화

by 머니 지안 2024. 9. 6.

 

2019년 개봉한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사회 구성원으로 꿈을 실현하고 싶었던 한 여자의 사회적 불평등과 육아라는 현실문제에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쳐가면서 사회적 기대감과 멀어져 가는 여성에 대한 초라함 등을 주제로 다루고 있으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조남주 작가님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한 것으로 우리나라 여성이 직면한 경제적 사회생활과 육아에 대한 현실적 고민을 세심하게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관객에게 감정적 공감을 얻어낸 이영화는 탄탄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배우들의 뛰어 난 감성적 연기가 흥행 성공을 이끌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82년생 김지영의 좌절

 

'82년생 김지영'은 부모님의 사랑스러운 딸이며 한 가정의 아내이고 엄마입니다. 평범한  30대 여성 지영의 삶을 통해서 현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조심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지영은 엄마의 역할과 사회적 기대감을 모두 성취하고 싶었지만 좌절과 일상의 생활에 포기해야 했던 삶에 대한 어려움을 영화는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지영의 생활에서 그려지는 문제와 상실감은 지영 자신의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 여성들이 직면한 문제와 경험을 반영하고 있기에 공감과 설득력 있는 캐릭터로 만들어줍니다. 지영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과 느린 속도감을 유지하며 그려지는 그녀의 감정은 영화의 매력적 요소입니다. 관객은 지영에게서 자신의 삶 속의 모습을 바라보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영의 정신 건강 문제는 사회가 가지고 있는 억압된 한 여자의 삶에 대한 무게의 압력을 나타냅니다. 지영의 점진적 정신 쇠약의 문제는 단순한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많은 여성들이 직면하고 있는 더 큰 사회적 문제입니다. 지영은 정신적 문제를 통해 마음속에 담았던 이야기를 솔직하게 드러내며 주변의 인물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아픔으로 기억되었던 사건도, 희생만을 강요당했던 엄마의 삶도 지영은 무의식적 마음을 담담히 그려내며 관객의 마음에 울림과 감동을 주었습니다. 

 

 

스토리를 강화시키는 연출과 캐릭터

김지영역을 맡았던 정유미의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섬세한 연기는 영화의 스토리를 더욱 강화시킵니다. 사회적 기대감과 무게에서 서서히 무너져가는 지영의 모습은 섬세하면서도 공감을 형성하도록 그려내며 관객을 지영의 세계로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지영의 남편인 공유는 지영을 이해하고 다정하고 자상한 남편의 모습을 보여주며 부부의 아름다운 모습을 공유를 통해 볼 수 있었고 남편이 있어 지영은 외롭지 않습니다. 정신 문제도 주변 인물들의 사랑과 관심으로 극복됨을 보여주며 인물들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는 내용의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김도영 감독의 연출력은 소설을 영화라는 큰 화면에서 생생하고 세심하게 묘사하는데 중심적 역할을 합니다.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음향 효과는 영화의 느린 속도감속에 스토리를 감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톤을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영화의 연출은 관객이 지영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보는 것만이 아니라 지영과 함께 고민하고 슬퍼하고 공감하도록 합니다. 캐릭터들의 탄탄한 연기와 감독의 뛰어난 연출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관객과 소통하게 합니다. '82년생 김지영'의 톤과 분위기는  관객을 몰입시키는 핵심 효과이며 지영의 절망을 반영하는 차분하고 소탈한 스타일은 친근함을 보여줍니다. 선정적이지 않고 삶을 돌아보게 하는 '82년생 김지영'은 나의 또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소설에 기반을 둔 영화

소설을 영화로 시나리오를 만들 때 가장 어려운 점은 원작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스토리를  구성하기 위한 시각적 매체를 활용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입니다. 김도영 감독은 '82년생 김지영'을 연출하면서 디테일하고 섬세한 표현을 세심하게 보여줍니다. 소설의 이야기에 기반을 둔 경제적 활동의 남녀 불평등, 사회적 기대, 정신 건강이라는 핵심 주제를 영화를 시각과 청각적 효과를 이용해 관객에게 전달합니다. 김도영 감독은 이러한 주제에 대한 시각적인 스토리텔링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영화적 표현으로 선보이며 관객을 흥미롭게 합니다. 예를 들면 지영이 내면의 혼란을 겪는 장면에서 클로즈업 샷을 사용하면 관객은 지영의 불안과 좌절을 더욱 친밀하고 감정적으로 공감할 수 있습니다. 김도영 감독은 지영이 매일 겪는 차분하고 억압적인 분위를 반영하면서 영화 전반에 걸쳐 차분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감독의 선택은 관객과 지영의 감정 상태에 대한 연결을 강화하고 스토리를 더욱 몰입감 있게 만듭니다. 김도영 감독은 원작에 대한 내용을 충실하게 담고 있으며 시각, 공간, 음향적인 연출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소설을 읽은 독자뿐만 아니라 영화에서 내용을 처음 접한 관객 모두에게 감정적 공감을 형성합니다.